OECD의 포용적 성장 지표
OECD의 포용적 성장 지표는 WEF의 평가 지표와 조금 다르다. OECD에 따르면, 포용적 성장은 공정한 분배와 함께 모든 사람들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경제성장을 지칭한다. 이와 관련해서, OECD는 포용적 성장 지표를 크게 4가지 범주로 구분하는데, 성장과 공정한 분배, 포용적이고 잘 기능하는 시장, 미래 번영을 위한 공정한 기회와 토대, 지배구조(Governance)가 그것이다. 그리고 이 4가지 범주를 평가하기 위한 핵심지표를 제시했다. 성장과 공정한 분배의 경우, 1인당 GDP 증가율, 중위소득 증가율 및 수준, 소득 5분위 배율(S80/20), 하위 40% 자산(wealth)과 상위 10% 자산의 비율(가계순자산 대비), 기대수명, 대기오염에 따른 사망률, 상대 빈곤율이 혁심지표로 제시되었으며, 포용적이고 잘 기능하는 시장의 경우에는 연간 노동생산성 증가율 및 수준, 고용율, 임금소득분포 10분위배율(Earnings dispersion(inter-decile ratio), 여성 임금 격차, 비자발적인 시간제 노동 고용, 디지털 접근성, 중소기업(SME) 대출 비중이 핵심지표로 제시되었다. 미래 번영을 위한 공정한 기회와 토대의 경우, 학생들의 출신 배경에 따른 과학 성과(science performance)의 차이, 세대별 소득 상관관계, 영유야(0-2세) 보육시설 이용율, 고용, 교육, 훈련에서 제외된 청년층(18-24세) 인구 비율, 문해력(literacy)과 수리력(numeracy) 두 측면에서 레벨 1(Level 1) 미만의 성인비율, 지역 간 기대수명 격차, 회복력이 있는 학생 비중(Resilient students)이 평가지표로 제시되었으며, 지배구조의 경우 정부신뢰도(Confidence in government), 투표율, 여성 정치참여율이 평가지표로 제시되었다(OECD, 2018, p.21).
UN SDGs가 사회 전체와 국가 간 협력에 맞춰져 있는데 비해 WEF 포용적 성장 지표는 기업이 포용적 성장과 ESG경영에 접근할 때 점검해야할 사항에, OECD는 국가 수준에서 비교 평가할 수 있는 지표에 주목하고 있다. UN SDGs가 지향해야할 목표라면, WEF 지표는 기업수준에서 참고할 만한 방편, OECD 지표는 국가를 통해 해당 분야에 대한 정책적, 제도적 노력이 추진될 수 있어 기업의 성과와 관련된 환경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볼 때 사회(S) 영역의 제반 시민사회와 국제사회의 요구는 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더욱 커지고 있어 자본시장에서 규범으로 자리잡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기업의 준비와 대응이 필요하다.
<표 Ⅲ-6> OECD 포용적 성장 지표 | |
범주 | 핵심 지표 |
성장과 공정한 분배 | 1인당 GDP 증가율 (%) |
중위소득 증가율 및 수준(%; USD PPP) | |
소득 5분위 배율(S80/20) | |
하위 40% 자산(wealth)과 상위 10% 자산의 비율(가계순자산household net wealth 대비 %) | |
기대수명(년 수) | |
대기오염에 따른 사망률(인구 100만명 당 사망자 수) | |
상대 빈곤율 (%) | |
포용적이고 잘 기능하는 시장 | 연간 노동생산성 증가율 및 수준(%; USD PPP) |
고용율 (%) | |
임금소득분포 10분위배율(Earnings dispersion(inter-decile ratio)) | |
여성 임금 격차(Female wage gap, %) | |
비자발적인 시간제 노동 고용(Involuntary part-time employment, %) | |
디지털 접근성(Digital access(businesses using cloud computing services), %) | |
중소기업(SME) 대출 비중(%) | |
미래 번영을 위한 공정한 기회와 토대 | 학생들의 출신 배경에 따른 과학 성과(science performance)의 차이(%) |
세대별 소득 상관관계(Correlation of earnings outcomes across generations) | |
영유야(0-2세) 보육시설 이용율(Childcare enrolment rate, %) | |
고용, 교육, 훈련에서 제외된 청년층 인구 비율(18-24세, (%) | |
문해력(literacy)과 수리력(numeracy) 두 측면에서 레벨 1(Level 1) 미만의 성인비율(%) | |
지역 간 기대수명 격차(%) | |
탄력적인 학생(Resilient students, %) | |
지배구조 | 정부신뢰도(Confidence in government, %) |
투표율(Voter turnout, %) | |
여성 정치참여율(Female political participation, %) | |
자료; OECD, “The Framework for Policy Action on Inclusive Growth”, 2018, p. 21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소비자의 개념 (0) | 2022.10.14 |
---|---|
세계경제포럼(WEF)의 포용적 성장 원칙 (0) | 2022.10.14 |
금융광고의 대상인 금융소비자와 그 범주 (0) | 2022.10.13 |
UN SDGs 17개 목표 정리 (0) | 2022.10.13 |
금융광고와 정보의 구분 (0) | 2022.10.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