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평가지표(metrics) 10개 범주 정리
Thomson Reuters, MSCI와 Sustainalytics는 ESG 요소를 포트폴리오 구성 및 관리 프로세스에 통합하기 위해 투자자가 재정적으로 중요한 ESG 위험과 기회를 식별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설계한다. Thomson Reuters의 ESG 평가지표(metrics)는 10개의 범주(자원 사용, 배출, 혁신, 인력, 인권, 공동체, 제조물 책임, 경영, 주주, CSR 전략) 186개의 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이 다시 환경(E), 사회, 지배구조로 구분되어 있다. 이 중 사회(S) 영역 지표는 인력, 인권, 공동체, 제조물 책임 등 4가지이다.
MSCI의 사회(S) 영역 지표도 4가지인데, 인적자본, 제조물 책임, 주주 반대, 사회적 기회 등이며, 블룸버그는 환경 및 사회적 영향에 특히 주목해서 평가지표 제공(R. Boffo & R. Patalano, 2020, pp. 21-23)하는데, 공급망, 차별, 정치적 기여, 다양성, 인권, 공동체 관계 등 6가지 지표를 제시하고 있다.
<표 Ⅲ-2> ESG 평가기준의 다양성 | |||
주제 | Thomson Reuters사 | MSCI사 | Bloomberg사 |
E | 자원이용 | 기후변화 | 탄소배출(Carbon Emissions) |
배출(Emissions) | 천연자원 | 기후변화 효과 | |
혁신 | 오염 및 폐기물 | 오염 | |
환경 기회(Environmental opportunities) | 폐기물 처리(Waste disposal) | ||
재생가능 에너지 | |||
자원고갈 | |||
S | 인력(Workforce) | Human capital | 공급망(Supply chain) |
인권 | 제조물 책임(Product liability) | 차별(Discrimination) | |
공동체 | 주주 반대(Stakeholder opposition) | 정치적 기여(Political contributions) | |
제조물 책임(Product Responsibility) | 사회적 기회(Social opportunities) | 다양성(Diversity) | |
인권(Human rights) | |||
공동체 관계(Community relations) | |||
G | 경영(Management) | 기업 지배구조 | 누적적 의결권(Cumulative voting) |
주주Shareholders | 협력행위(Corporate behaviour) | 임원 보상(Executive compensation) | |
CSR 전략 | 주주의 권리 | ||
기업인수 방어(Takeover defence) | |||
임기별 위원회(Staggered boards) | |||
사외이사(Independent directors) | |||
평가지표 숫자 | 186 | 34 | >120 |
자료: Refinitiv, MSCI, Bloomberg, FTSE; OECD assessment; R. Boffo & R. Patalano, 2020, p. 22에서 재인용 |
SASB(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는 지속가능성 영역을 크게 5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나서, 다시 26개의 세부주제를 제시한다. 5개의 지속가능성 영역은 환경, 사회적 자본, 인적자본, 비즈니스 모델 및 혁신, 리더십과 지배구조인데, 환경(E)과 지배구조를 제외한 사회적 자본, 인적자본, 비즈니스 모델 및 혁신 등이 사회(S) 영역 지표로 볼 수 있다.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지표는 인권, 취약집단(vulnerable groups) 보호, 지역 경제 개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접근 및 경제성(affordability), 판매 관행, 고객정보 보호 등이며, 인적 자본(Human Capital) 지표는 직원의 생산성, 노사관계 관리, 직원의 건강 및 안전 관리 등이다. 비즈니스 모델 및 혁신(Business Model and Innovation) 지표는 설계, 사용 단계 및 제품 폐기의 효율성과 책임, 제품 혁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 Ⅲ-3> SASB 중요성 지표(Materiality map) | |
지속가능성 차원 | 쟁점 |
환경 |
온실가스(GHG) 배출 |
대기의 질 | |
에너지 관리 | |
용수 및 폐수 관리 | |
폐기물 및 위험물질 관리 | |
생태계 영향 | |
사회적 자본 |
인권 및 공동체 |
고객 정보보호(customer privacy) | |
데이터 보안 | |
접근성(access) 및 경제성(affordability) | |
제품 품질 및 안전 | |
고객 복지(customer welfare) | |
판매 관행 및 제품 라벨링(selling practices and product labeling) | |
인적자본 | 노동 관행(labor practices) |
직원(employee) 건강 및 안전 | |
직원 참여(employee engagement), 다양성 및 포용(inclusion) | |
비즈니스 모델 및 혁신 | 제품 설계 및 라이프 사이클 관리 |
비즈니스 모델 탄력성(resilience) | |
공급망(supply chain) 관리 | |
재료조달(material sourcing) 및 효율성 | |
기후변화의 물리적 영향 | |
리더십과 거버넌스 | 기업 윤리 |
경쟁 행동 | |
법률 및 규제 환경 관리 | |
주요 사고 위험(critical incident risk) 관리 | |
체계적 리스크(systematic risk management) 관리 | |
Source: SASB website,“materiality map”(https://www.sasb.org/standards/materiality-map/) |
이상 소개한 ESG평가기관의 평가기준이 기업의 ESG경영에 맞춰져 있다면, UN SDGs, WEF, OECD 포용적 성장 지표는 환경(E), 사회(S) 등과 관련된 시민사회와 국제사회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광고와 정보의 구분 (0) | 2022.10.13 |
---|---|
창의자본의 개념 설명 (0) | 2022.10.13 |
국내, 국외 출원의 권리자를 달리하는 경우 (0) | 2022.10.13 |
금융광고와 투자권유의 구분 (0) | 2022.10.12 |
악의적 상표출원이란? (0) | 2022.10.12 |
댓글